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초이론

(26)
OLTP와 OLAP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실시간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접근 방식이다. 주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거래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보류나 중간이라는 상태가 존재하지 않기에 데이터가 "무결"하다.음식으로 예를 들면 주문을 완료하거나, 하지 않거나라는 두 가지의 선택지만 존재한다는 의미이다.데이터의 추가(INSERT), 변경(UPDATE)가 많이 이루어진다.SQL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지만 분석을 위해 만든 데이터베이스가 아니기에 쿼리 속도가 느리다.MySQL, Oracle, PostgreSQL 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이다.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대..
[인프런]정보 보안과 웹 보안의 구성 요소 아니 이게 무슨 일이야. 방문자 수가 왜 이리 늘었지. 일단 감사합니다 여러분. 다시 열심히 해 볼게요.보안에 대한 기본적인 오해규모가 큰 서비스나 회사만 공격받는 것이 아니다. 규모가 작은 회사, 심지어는 개인적으로 작업한 토이 프로젝트조차도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다.보안과 관련해서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구분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 둘 다 중요하다.많은 사람이 사용한다고 해서 그것이 안전하다는 보장은 없다. 실제 업무나 운용 환경에서 사용할 라이브러리들은 반드시 공식 문서와 테스트를 통해 안전을 검증한 후에 사용해야 한다.공격을 하는 사람은 생각조차 못한 방식으로 다가오기도 한다.전체 프로그램의 보안 수준을 결정하는 것은 보안이 가장 약한 부분이다.사람을 대상으로 생각해보자. 대부분은 기업 내부에서..
[인프런]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_빈 스코프 빈 스코프 스프링 빈은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된다. 이 덕분에 스프링 빈이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서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된다. 스코프는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한다. 싱글톤 기본 스코프이며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프로토 타입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웹 관련 스코프 "request":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session":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application" : 웹의 서블릿 컨텍스와 같은 범위로..
[인프런]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_빈 생명주기 콜백 빈 생명주기 콜백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스프링 빈은 간단하게 "객체 생성" -> "의존관계 주입" 이라는 라이프 사이클을 가진다. 스프링 빈은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관계 주입이 다 끝난 다음에야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따라서 초기화 작업은 의존관계 주입이 모두 완료되고 난 다음에 호출해야 한다. 그렇다면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시점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스프링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되면 스프링 빈에게 콜백 메소드를 통해서 초기화 시점을 알려주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
[인프런]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_의존관계 자동주입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생성자 주입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 관계를 주입받는 방법이다. 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즉, 한번 코드를 짠 후에 변경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주로 사용한다. 생성자가 1개만 있으면 @Autowired를 생략해도 자동으로 주입된다. (스프링 빈에만 적용된다.) 생성자 주입 사용 이유 과거에는 수정자 주입과 필드 주입을 많이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스프링을 포함한 DI 프레임워크 대부분이 생성자 주입을 권장한다. 일반적으로 생성자 주입 방식을 사용하고, 옵션이 필요한 경우에만 수정자 주입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게 좋다. 생성자 주입 방식은 프..
[인프런]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_컴포넌트 스캔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스프링은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의존관계를 자동으로 주입하는 @Autowired 라는 기능도 제공한다. @Component @ComponentScan 은 @Component 가 붙은 모든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이 때 스프링 빈의 기본 이름은 클래스명을 사용하되, 맨 앞글자만 소문자를 사용한다. ex) MemberServiceImpl 클래스 > memberServiceImpl @Autowired 의존관계 자동 주입 생성자에 @Autowired 를 지정하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해당 스프링 빈을 찾아서 주입한다. 이 때 기본적으로는 타입이 같은 빈을 찾아서 조회한다. getBean(Me..
[인프런]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_싱글톤 컨테이너 싱글톤 패턴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객체 인스턴스를 2개 이상 생성하지 못하도록 해야한다.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해서 외부에서 임의로 new 키워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해야한다.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코드가 많다. 의존관계상 클라이언트가 구체 클래스에 의존한다. 이 때문에 DIP를 위반하고, OCP 원칙 위반의 가능성 또한 높다. 테스트가 어렵다. 내부 속성의 변경 혹은 초기화가 어렵다. private 생성자로 자식 클래스를 만들기 어렵다. 유연성이 떨어진다. 안티패턴으로 불리기도 한다. 싱글톤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
[인프런]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_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 BeanDefinition) BeanDefinition 1. 스프링이 다양한 설정 형식을 지원하기 위한 주요 기능 중 하나로, 추상화이다. 2. 역할과 구현을 개념적으로 나눈 것이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자바 코드인지, xml 인지 몰라도 된다. 오직 BeanDefinition 만 알면 된다. 3. BeanDefinition을 빈 설정 메타정보라고 한다. @Bean(자바), (xml) 하나당 하나씩의 메타 정보가 생성된다. 4. 스프링 컨테이너는 이 메타정보를 기반으로 스프링 빈을 생성한다. 5. BeanDefinition은 인터페이스(구현체)이고, 스프링 컨테이너는 이 추상화만을 의존하면 된다. 아래 이미지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1.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는 AnnotatedBean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