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실습/CRUD 게시판 만들기

[JAVA]4. Git 연동하기

반응형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형상관리를 위해 Git을 연동하겠습니다.

 

내가 언제 어떻게 작업했고, 어떤 코드를 수정했는지를 확실히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어떤 코드를 작성했을 때 어떻게 기능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문제가 생겼을 때 확인할 수도 있죠.

 

그러면 시작해보겠습니다.

1. GitHub 접속 및 로그인
2. 새 저장소(Repository) 만들기
3. 이클립스에 연동

 

 

1. GitHub 접속

 

아래 링크를 통해 GitHub에 접속해서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https://github.com/

 

GitHub · Build and ship software on a single, collaborative platform

Join the world's most widely adopted, AI-powered developer platform where millions of developers, businesses, and the largest open source community build software that advances humanity.

github.com

 

2. 새 저장소(Repository) 만들기

로그인을 완료한 후에 상단의 오른쪽을 보면 + 기호가 보일겁니다.

그걸 누르면 나오는 목록들 중에 New repository 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이런 화면으로 들어갈겁니다.

 

각 사항들을 간략하게 알아볼게요.

 

  • Repository Name
    • 저장소의 이름
    • 프로젝트 명과 동일하게 작업해주는 것을 추천
  • Description (optional)
    • 프로젝트를 설명하는 문구 입력
    • 생략해도 상관 없음
  • Public / Private
    • Public : 모두가 접근 가능
    • Private : 본인과 본인이 지정한 사람만 접근 가능
  • Initiaize this repository with
    • README file의 생성 여부 결정
    • README file : 프로젝트의 소개글, 사용법, 개발 배경 등을 적는 문서
    • .md 파일이며 마크다운 형식으로 작성됨
    • GitHub 저장소 페이지에 들어가면, 맨 위에 자동적으로 이 파일의 내용이 보임
    • 이클립스에서 이미 프로젝트를 만든 뒤 GitHub에 연동하는 경우,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에 추천하지 않음
  • Add .gitignioew
    • Git이 무시할 파일 / 폴더 목록을 지정하는 설정 파일
    • 깃에 올라갈 필요가 없는 파일들을 올리지 않을 수 있음. (이클립스 설정 파일, 임시 파일 등)
    • 이클립스에서 Java 프로젝트를 하는 경우에는 Java 옵션 추천

  • Choose a license
    • 다른 사람이 내 코드를 어떻게 써도 되는지를 명시하는 라이선스
    • Private 설정이면 생략(None)
    • Public 설정이면 선택

 

위 사항들을 참고해서 입력한 후에 밑의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처럼 나오면 완성입니다.

 

이 창은 나중에 다시 써야하니 끄지 말아주세요.

 

 

3. 이클립스 연동

1. 이클립스에서 Git 뷰 열기
2. GitHub 저장소 복제(Clone) 및 이클립스 연동
3. Git 토큰 발급 및 입력
4. 연동 마무리 및 확인

 

1. 이클립스에서 Git 뷰 열기

 

이클립스를 열고 상단의 Window 를 눌러서 아래 단계를 따라합니다.

 

Window > Show View > Other > Git Repositories

 

 

그러면 하단에 Git Repositories 가 새로 생깁니다.

 

 

2. GitHub 저장소 복제(Clone)

 

다시 GitHub로 돌아가주세요.

Repository 만들었던 그 창으로 돌아갑니다.

 

<> Code 버튼을 누르고, HTTPS 를 눌러서 나온 주소를 복사해주세요.

오른쪽에 있는 겹쳐진 네모를 클릭하면 한 번에 복사가 됩니다.

 

 

이제 다시 이클립스로 돌아옵니다.

하단의 Git Repositories에서 Clone a Git repository 를 눌러주세요.

 

 

Clone URI 을 누르면 나오는 창에서 URI 에 복사한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밑에 정보가 입력되는데요.

Connection 은 통신 방식이니 그대로 두고, Authentication 부분을 마저 채울겁니다.

* Connection에 Port 도 빈 칸으로 두세요.

 

3. Git 토큰 발급 및 입력

이 부분에는 GitHub에서 발급받은 토큰 정보가 필요합니다.

다시 GitHub로 들어가주세요.

 

오른쪽 상단의 프로필 아이콘을 클릭하면 Settings 라는 메뉴를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Settings 에 들어왔으면, 아래로 쭉 내려서 왼쪽에 Developer settings 를 클릭합니다.

 

 

오른쪽에서 Personal access tokens > Tokens (classic) 을 클릭합니다.

화면의 가운데에 Generate new token 을 클릭하고 Generate new token (classic) 을 선택합니다.

 

classic 이 아닌 버전은, 이클립스 연동시 오류를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Fine-grained tokens 은 GitHub가 보안을 강화하며 새로 도입한 방식인데, 이클립스 EGit이 아직 이 방식을 완전히 지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Note 에 토큰 이름을 입력하고 Expriation 에서 토큰 만료 기간을 설정합니다.

Select Scopes 는 repo와 workflow 정도만 체크할게요.

혼자서 할 private 프로젝트이기에 이 정도로도 충분합니다.

 

* 그 외의 scopes 내용이 궁금하면 댓글 달아주세요.

 

 

다 입력했으면 하단의 Generate Token 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이 하나 있습니다.

 

★ 발급된 토큰은 다시 볼 수 없다.

 

라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 주소를 복사해서 잘 저장해놔야합니다.

 

 

4. 연동 마무리 및 확인

 

이제 끝이 다가옵니다. 다시 이클립스로 돌아가주세요.

 

Password에 복사한 토큰 주소를 입력합니다.

User 에는 깃허브 사용자명을 입력합니다. 계정 ID가 아니라 username 이라는 점 명심해주세요.

 

이제 Next 를 클릭합니다. 

 

 

이렇게 연동이 잘 되었으면 마찬가지로 Next 를 클릭해서 넘어갑니다.

 

 

다음은 Direcroty 설정입니다.

GitHub  저장소를 내 컴퓨터에 복제해둘 경로를 설정하는 건데요.

저는 깔끔한 폴더 구조를 위해 아래처럼 구성했습니다.

 

이제 Finish 를 눌러줍니다.

 

 

조금 기다리면 하단의 Git Repositories 가 아래처럼 변할겁니다.

이렇게 되었다면 드디어 Git 연동이 완료된 겁니다.

 

 

여기까지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전 글

 

[JAVA]3. 디렉토리 구조 및 JSTL 라이브러리 설정

 

[JAVA]3. 디렉토리 구조 및 JSTL 라이브러리 설정

본격적으로 게시판을 만들기에 앞서, 디렉터리 구조를 보고 그에 맞게 파일을 만들어볼겁니다.1. 폴더 생성2. 게시판 jsp 파일 생성3. JSTL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및 적용4. JSTL 코드 작성 기본적인

silverji.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