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ADsP

[ADsP 요약정리]3과목. 통계 분석-표본 조사

반응형

[1. 통계학 개론]

▶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1) 전수조사

-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방법

- 가장 이상적인 연구 방법

-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2) 표본조사

- 전체(모집단) 중에서 일부 집단을 선택(표본추출)하고, 선택한 집단(표본집단)을 분석해서 전체 집단의 특성을 예측하는 방법

- 이 때, 예측은 확률 분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가설 검정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 자료의 척도 구분

- 내가 조사하고자 하는 집단이 어떤 자료의 형태인지를 알아야 한다.

 

1) 질적 척도

- 명목척도

  • 어느 집단에 속하는지 나타내는 자료

- 순서척도

  • 서열 관계가 존재하는 자료

2) 양적 척도

- 등간척도(구간척도)

  • 구간 사이의 간격이 의미가 있음
  • 덧셈과 뺄셈만 가능
  • 온도처럼, 어제와 오늘은 몇 도의 차이가 있는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주로 사용

- 비율척도

  • 절대적 기준 0이 존재함
  • 사칙연산이 가능
  • 무게, 나이 등

▶ 확률적 표본 추출 방법

 

1) 랜덤 추출법

- 무작위로 표본 추출

 

2) 계통 추출법

- 번호를 부여하여 일정 간격으로 추출

 

3) 집락 추출법 (= 군집 추출법)

- 여러 군집으로 나눈 뒤 군집을 선택하여 랜덤으로 추출

- 군집 내 이질적 특징

  • A 아파트를 조사하면, 이 아파트 내에는 다양한 특징이 존재함

- 군집 간 동질적 특징

  • A 아파트를 조사했을 때, 이 아파트의 특징이 B와 C 아파트를 대변하기에 동질적인 특징이 존재함

 

4) 층화 추출법

- 군집 내 동질적 특징

  • 한 고등학교에서 총 12명의 학생을 뽑는다고 가정할 때, 학년별로 4명씩 뽑아야 한다.
    • 학년별로 을 나누어서 모집해야 한다.
  • 이 때, 각 학년별로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 1학년은 1학년끼리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2학년은 2학년끼리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

- 군집 간 이질적 특징

  • 위와 같은 상황이라고 가정할 때, 학년별로는 이질적인 특징을 가진다.

- 같은 비율로 추출할 시에는 비례 총화 추출법 사용

  • 1학년이 100명, 2학년이 200명, 3학년이 300명이라면 비율은 각각 1:2:3이 되어야 공평하다.

※ 3)과 4)를 구분하는 문제가 시험에 많이 나온다!

 

5) 복원, 비복원 추출

- 복원 추출

  • 추출되었던 데이터를 다시 포함시켜서 표본 추출

- 비복원 추출

  • 추출되었던 데이터는 제외하고 표본 추출

▶ 비확률적 표본 추출 방법

1) 편의 추출법

- 연구자가 쉽게 접근 가능한 대상으로 표본 추출

 

2) 의도적 추출법

- 연구자가 특정 기준을 정하고, 이에 맞는 표본 추출

 

3) 할당 추출법

- 특정 기준으로 나눈 후, 그 그룹에서 할당된 수 만큼 추출

 

4) 눈덩이 추출법

- 초기 응답자로부터 새로운 응답자를 추천받는 형식

 

5) 자기선택 추출법

- 응답자가 스스로 조사에 참여할지 결정하는 형식


→  출처

ADsP 요약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