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5652
문제
- 자연수 N과 M이 주어졌을 때,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길이가 M인 수열을 모두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1부터 N까지 자연수 중에서 M개를 고른 수열
- 같은 수를 여러 번 골라도 된다.
- 고른 수열은 비내림차순이어야 한다.
입력
- 첫째 줄에 자연수 N과 M이 주어진다. (1 ≤ M ≤ N ≤ 8)
출력
- 한 줄에 하나씩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을 출력한다.
- 중복되는 수열을 여러 번 출력하면 안되며, 각 수열은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해야 한다.
- 수열은 사전 순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출력해야 한다.
입출력 예제
풀이방식
이번 문제는 DFS에 대한 문제이다.
설계과정
1. 전역으로 각 변수를 선언하고, main에서 초기화한다.
2. depth와 M이 같으면 출력한다.
3. depth와 M이 다르면 입력받은 값부터 N까지 돌면서 배열에 값을 넣는다.
4. 그 후에 재귀함수를 호출하는데, 이 때에 매개변수를 2개 넣어서 호출한다.
- 하나는 시작하는 수이고 하나는 깊이이다.
- 시작하는 수는 for문을 통해 증가하기에 그대로 넣어주고, 깊이는 1 더해서 넣어준다.
풀이과정
1. 전역으로 변수를 선언하고 main에 코드를 작성한다.
- 값 입력받고, 함수 호출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코드이다.
- graph[ ] : 결과값을 저장할 배열이다.
- depth : 깊이(=레벨)을 의미한다.
2. 바로 DFS() 메소드 구현으로 넘어가보자.
3. depth 와 M 이 동일하면 graph 배열에서 값들을 꺼내 출력한다.
- depth와 M이 동일하다는 것은 마지막 노드에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입력받은 값부터 N까지 도는 for문을 작성해서 배열에 값을 넣고 재귀함수를 호출한다.
- 예제 출력에서 각 값들이 1부터 시작하는게 아니라 자기 자신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입력받은 값인 v 부터 시작한다.
- i는 for문을 통해 증가하기에 그대로 넣어주고, 깊이인 depth는 1 더해서 넣어준다.
답안소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static int[] graph;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ublic void DFS(int v, int depth) {
if(depth == M) {
for(int x : graph) {
sb.append(x).append(" ");
}
sb.append("\n");
return;
} else {
for(int i=v; i<=N; i++) {
graph[depth] = i;
DFS(i, depth+1);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Main four = new Mai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 = new int[M];
four.DFS(1, 0);
System.out.println(sb);
}
}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알고리즘 자바] 15654 : N과 M (5) (0) | 2023.02.06 |
---|---|
[백준 알고리즘 자바] 2292 : 벌집 (0) | 2023.01.29 |
[백준 알고리즘 자바] 15651 : N과 M (3) (2) | 2022.11.23 |
[백준 알고리즘 자바] 15650 : N과 M (2) (0) | 2022.11.21 |
[백준 알고리즘 자바] 15649 : N과 M (1) (0) | 2022.11.20 |